모든 삶은 흐른다 독서 에세이
프랑스 철학자 로랑스 드빌레르 <모든 삶은 흐른다> 독서 기록
하루하루가 지치고 답이 없어 마냥 버티고만 있을 때 집었던 책이다. '삶이란 그런 것이다'라는 문장을 읽을 때 마다, 누군가에게 이 어려운 삶을 이해받는 것 같아 한참을 음미했다. 우리의 삶은 바다와 같아 파도가 넘실거리고 소용돌이치며 밀물과 썰물처럼 오르락내리락하지만, 곧 잔잔하게 빛을 담아 환하게 빛나게 될 것이라는, 소란하게 흐르는 삶 속에서 내가 흘려버려야 할 것과 단단하게 닻을 내려야 할 가치들에 대해 생각해보게 해준 책이었다.
책은 바다와 관련된 키워드를 토대로 살아감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방식들을 제시해준다. 개인적으로는 '밀물과 썰물', '상어', '섬', '바다 소금', '등대', '사르가소', '모비딕'이 인상 깊었다.
삶은 바다, 인생은 항해
최근 인간적으로 업무적으로도 힘에 부치는 날의 연속이었다. 그리고 이 상황을 해결할 수 없어서 괴로웠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곤 싸우지 않고 참고, 참는 것 뿐이었으니까. 그럼에도 스스로의 의지로 상황을 해결해야 된다는 강박이 있어 힘들었다. 퇴사를 하면 될까? 휴직을 하면 될까? '왜 내 인생은 굴곡이 많고 힘든 일이 많을까, 왜 나만 이렇게 괴로운 일이 생기는 것일까?'라는 생각이 자주 들던 참이었다.
책의 첫번째 메시지는 '삶을 바다와 같이 바라보자'였다. 바다와 같은 우리의 삶은 영원히 잔잔할 수 없고, 파도처럼 게으름과 탄생, 상실과 풍요, 회의와 확신이 나름의 속도로 밀려오는 것이었다. 바다가 쉬지 않고 늘 움직이듯 매일의 인생도 거칠고 잔잔한 것이 일상인 셈이었던 거다. 삶이란 항상 불안하고, 고난과 역경을 피하지 못하면 괴로울 수 있으나, 굴곡이 있는 삶이 나쁜 것도 좋은 것도 아닌 그저 자연스러운 거였다.
파도가 거세게 치더라도 우리는 크게 개의치 않는다. 이미 알고 있기 때문이다. 천재지변이 아닌 이상 아무리 거센 파도라도 이내 곧 잔잔해질 것이라는 것을 말이다. 드빌레르는 이처럼 고난과 역경이 와도 지치지 말고 계속 너울거리는 물결에 몸을 맡기라고 얘기해준다. 지금 내게 오는 고난이 흐르는 물일지, 고인 물일지, 밀물인지 썰물인지에 고민할 필요 없이 그저 오는 것을 그대로 받아들이면 된다고 말이다. 그리고 말한다. 산다는 건 그냥 그런 것이라고. 내가 바꿀 수 없는 파도(고난)에 올라타면 그 뿐이이라고. 파도를 지배하는 주인은 아니어도 당당히 항해할 수 있다. 나의 의지대로 무언가를 바꾸지 않아도 우리의 삶을 충분히 순항할 수 있다.
바다에서 살아남는 유용한 방법들
바다가 삶이 원래 그런 것이라고 하더라도 살아가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관성에 젖지 않도록, 여러 자극에 취해 더 이상 자극을 느끼지 못하는 삶을 살지 않도록 철학적인 여러 방법론들을 제시해준다. 그 중 인상깊었던 것은 '상어와 같이 살기'였다. 상어는 같은 바다를 두 번 헤엄치지 않는데, 항상 새로운 것을 추구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알고보면 우리는 늘 같은 행동을 하면서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중일지도 모른다. 안해보던 책을 읽거나 하고 퇴근 후 루틴을 바꿔보는 등 습관적이고 폐쇄적인 환경에서 벗어나 앞으로 나아가고 바꾸고 숨을 쉬자고 이야기한다. 파도와 같은 고난은 어쩔줄 모르면서, 관성적인 삶에는 '원래 그런 것'이라고 살아가는 내가 떠올라 부끄러웠다.
바다의 '섬'이 비슷하지만 다 다른 모습이든 우리의 가치도 다 다르다. 롤모델의 모습에 지나치게 집착하지 말고, 타인과 교류하되 남에게 맞추지도 분위기에 휩쓸리지도 않아야 한다고 말한다. 호락호락하지 않은, 나를 나답게 만드는 가치들을 스스로 잘 새기고 고유한 가치로서 스스로의 인생을 살아야 한다는 말도 좋았다.
인생은 양면이라고 했다. 좋은 점만 있을 수도 없고 나쁜 점만 있을 수 없다. 나쁜 면이 수면위로 드러났을 때 우리는 인생의 좋은 면을 되새기며, 나쁜 면에 감정과 행동이 지배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최고의 순간이 있었음을 깨닫고 잿빛이 되었을 때 좋았던 색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삶의 좋은 면을 무분별하게 취하지 말고, 하나씩 꺼내 음미하는 법을 알아야 한다고 한다. 자극적인 것들에 취해버리면 최고의 순간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 것을 바다의 짠맛이라고 했다. 우리는 모두 각자 행복함을 되새길 수 있는 소금같은 순간을 수집할 수 있고, 그 소금이 모든 것을 구한다고 전한다. 내게 그런 순간은 기록이다. 평범한 일, 월, 여행 등의 기록을 살펴보면 내 인생은 정말 풍요롭게 다채롭고, 또 곁에 많은 사람들이 있다는 걸 느낄 수 있다.
후회와 분노를 다스리는 방법
나의 가장 연약한 살점같은 점은 '후회'와 '분노'에 대한 대처다. 부당함을 이유로 분노하던 어린 시절의 나는 종종 말실수로 많은 대가를 치뤄야 했고, 과거의 일을 되새김질하며 후회하는 나는 종종 동굴에 갇혀 주변 사람을 힘들게 했다. 분노는 그나마 조금 나아졌지만 여전히 후회하고 탓을 한다. 마침 책에는 이런 감정들에 대한 내용들이 있었고, 다른 사람들보다 더 인상깊게 보지 않았을까 싶다.
'후회'는 사로 잡히는 순간 머리는 복잡해지고 행동은 느려진다. '그때 그랬어야 하는데', '그때 그러지 말았어야 했는데'라는 후회를 하느라 나아가지고, 물러서지도 못하는 상황에 놓이는 것이다. 작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그저 앞으로 해나갈 수 밖에 없다고 말한다. 항해한다는 것은 길을 정해 따라 가는 것이니 확신이 들지 않아도 묵묵히 따라가야 하는 것이라고. 이렇게 후회하는 마음을 행동으로, 자책을 확신으로, 살아오며 거친 시행착오의 순간을 앞으로 나아갈 길로 만들면 과거의 일은 오점이 아닌 한 페이지가 된다고 이야기 한다. 그리고 인생의 여정은 후회의 총 집합도, 죽을 정도로 무겁고 버거운 일도 아니라고 알려준다. 그저 실제로 항해하는 수많은 길 중 하나일 뿐이라고 나의 과거를 보듬어 준다. 어느 어른의 이런 '진짜 괜찮아'라는 말을 듣고 싶었던 걸까. 성실과 같이 그저 해나가면 이 것도 하나의 과정이 될 뿐이라는 걸 깨닫는다. 앞으로는 되새김질하기 보다 묵묵히 해나가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모비딕으로 설명한 '분노'는 보를레르의 설명에 감탄을 한 파트였다. 분노하는 사람의 마음을 어떻게 그렇게 잘 아는지. 책에서 설명하듯 분노하는 사람은 혼란을 원하는 게 아니라, 타인으로부터 뺏긴 것을 되찾아 질서를 되돌려 놓겠다는 마음에서 분노는 시작한다. 그래서 항상 분노에는 이유가 있고 남들에게 분노의 정당함을 설파한다. 하지만 안타까운 사실은 아무리 분노하더라도 느꼈던 부당함이 없었던 일이 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가혹할 수 있겠지만 그게 현실일 뿐이다. 거센 파도의 일부가 없던 일이 될 수 없듯이 말이다. 특별한 방법은 없다. 분노가 가라앉을 때까지, 파도가 잔잔해질 때까지 기다리는 수밖에. 다만 분노하는 마음에 한 말과 행동은 다시 회복하기에 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신중해지는 것이 좋다고 설명한다. 분노는 내게 지난 사회 생활에서 뼈저리게 느낀 교훈이기도 했다. 분노를 그 자리에서 식히는 연습은 지금도 계속 되고 있다. 다행히 크게 문제를 일으키지도 않았고 말이다. 다만 화병이 날 것 같아서 막무가내로 누르기보다 기분 전환하며 분노를 옅게 만드는 방식을 고민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
나보다 어른, 프랑스 철학가, 그보다 내가 아닌 다른 누군가가 '삶은 원래 그런 것이고, 내 의지로 바꾸지 못할 수도 있으며, 밀물과 썰물이 오듯 이내 다시 반짝일 것이다'라고 이야기해주는 문장과 존재 자체가 큰 힘이 되었다. 사실 지금은 내 안의 문제가 해결된 상태라 마지막엔 조금 더 가뿐하게 읽었지만, 한참 힘들었을 때 드빌레르의 문장은 얼마나 단비같았는지 모른다. 은유가 많아 글 패턴이 다소 비슷하고, 이 얘기 저 얘기를 같이 해서 다소 부산스럽긴 했으나 그 마저도 다 좋은 이야기들이라서 기쁘게 읽었다.
철학서라고 해도 될까? 철학자가 쓴 책 치고는 정말 쉽게 풀어 쓴 책이다. 연말에 마음을 다잡는 느낌으로 읽어봐도 좋을 것 같다.
'글과책 > 서평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대 예보 독서 에세이 (3) | 2023.11.29 |
---|---|
서평 쓰기에 도움되는 몇가지 (2) | 2023.11.23 |
시절 인연 독서 에세이 (1) | 2023.11.20 |
빅토리 노트 독서 에세이 (1) | 2023.11.20 |
기록하기로 했습니다 독서 에세이 (1) | 2023.11.20 |